심상덕

http://gynob.kr/?1

온도계의 발견--장하석

인기지수 2 1396번 조회2013-08-22 15:03


"얼마전 세상을 바꾸는 15분"이라는 프로를 통해  케임브리지 대학 교수인 장하석 교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그는 물리학자를 꿈꾸었지만 중간에 보다 본질적이고 다양한 시각에서 세상을 바라보기 위하여 "과학 철학"이라는 다소 생소한 분야로 진로를 바꾸었다고 하는군요.
장하석 교수는 "온도계의 발견((Inventing Temperature)"이라는 책으로 널리 알려졌는데 이 책으로 지난 2007년 과학철학 분야 최고 권위의 러커토시상을 수상했다고 합니다. 
참 대단한 사람이죠?

그 책에는 "온도계는 어떻게 만들어졌을까?"등 처음 온도계를 만든 과학자가 겪어야 했을 각종 검증을 다루고 있으며 온도와 관련된 과학적 사실, 그리고 온도계의 역사, 더불어 과학적 사실의 철학적 고찰을 다양하게 조망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 책은 아직 국내 번역본이 나와 있지는 않습니다.

그런 철학이 비단 과학 뿐만이 아니라 제가 몸담고 있는 의학 분야에 어쩌면 더 필요한 것인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의학 철학에 대하여도 의철학회도 있고 몇권의 책도 번역되어 나오기도 했지만 그 양은 터무니 없이 부족하여 이런 쪽의 학구적 갈증을 가진 사람의 욕구를 채우기는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여하튼 그가 과학자에서 출발하여 과학 철학으로 건너가게 된 구체적 과정은 모르겠지만 아마도 남다른 고민이 있었을 듯 합니다.
저로서야 그런 변화를 감행할 정도의 용기는 없지만 제가 천직으로 삼고 있는 의사의 모든 행위가 어쩌면 하나하나 모두 철학적 고민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검토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에서 의학 철학에 대한 공부를 해 봤으면 좋겠다는 소망이 있습니다.

그래서 며칠 전 책을 구입하였는데 막상 읽어 보려니 깨알 같은 글씨가 눈과 의욕에 확 부담을  주는군요.
하여 나름 영어 실력도 되고 성실하다고 판단되어 저희 병원에서 제 신뢰를 얻고 있는 몇몇 직원 (배유진 초음파실장, 이수진 분만실장, 김지연 난임 실장, 그리고 한경희씨--저는 이런 것도 직설적으로 밝힙니다. 성실하고 자신의 업무에 최선을 다하면서 모범이 되는 진오비 산부인과 식구에게는 마음 속으로 또는 이렇게 글로라도 나름 인정하고 지지하고 평가해 줍니다.) 중에 한 사람인 초음파 실장에게 부탁해서 하루 한 페이지씩 번역해 보라고 했습니다.
240페이지 분량이니 일년 내에는 끝나겠지요?

좋군

와우

하품

나빠

뭐지

통과

답글쓰기 답글 (5 개 답글)

답글 배유진 2013-08-22 16:50
원장님.. 어제 이 책을 받아 들었을 때 소설책(?)과 같은 스토리 책이라 생각해 즐거운 마음이었는데.. 오늘 책을 펼쳐보고서는 논문 몇권을 모아놓은 듯한 책 내용에 식은땀이 흐르고 있습니다.    반 년쯤 지났을 때 내용의 10프로만이라도 이해가 가길 바랄뿐입니다..
답글 심상덕 2013-08-22 17:31
배유진: 원장님.. 어제 이 책을 받아 들었을 때 소설책(?)과 같은 스토리 책이라 생각해 즐거운 마음이었는데.. 오늘 책을 펼쳐보고서는 논문 몇권을 모아놓은 듯한 책  ...
사람은 항상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끊임없이 자신을 채찍질함으로써만이 좀더 높은 수준으로 갈 수 있어요.
물론 그 책은 나도 쉽게 읽고 이해할 책은 아니겠지만 우리나라 사람으로 영어로 책을 쓴 저자의 노력을 생각해 본다면 읽고 이해하는 정도야 못할 것도 없지 않을까 싶은데....
좋은 책이니 포기하지 말고 한번 끝까지 읽고 이해해 보도록 해요.
답글 배유진 2013-08-22 17:45
심상덕: 사람은 항상 현재에 안주하지 말고 끊임없이 자신을 채찍질함으로써만이 좀더 높은 수준으로 갈 수 있어요.
물론 그 책은 나도 쉽게 읽고 이해할 책은 아니겠지 ...
방금 오늘의 분량을 마무리 지으며, 오역이 되는 부분이 많지 않길..
다 읽었을 때에는 지금 막연히 드는 생각이지만 똑똑해져 있었으면 좋겠어요
답글 심상덕 2013-08-22 18:03
배유진: 방금 오늘의 분량을 마무리 지으며, 오역이 되는 부분이 많지 않길..
다 읽었을 때에는 지금 막연히 드는 생각이지만 똑똑해져 있었으면 좋겠어요
읽어 보았는데 번역이 조금 매끄럽지 않은 부분들이 있는데 여하튼 조금 다듬어서 블로그에도 올리면 좋을 듯.
블로그 분류를 "온도계의 철학"으로 하나 만들어서....
답글 dyoon 2013-09-04 14:56
과학철학..학부때 관심이 많았던 분야예요. 진로를 두고 고민했었던 기억이 납니다. 서울대에도 과학사 및 과학철학협동과정이 있지요. 결론은 나중에 제 분야에서 실력이 무르익으면, 그간의 연구경험이나 활동이 나름의 철학을 형성하게 되고 과학사나 철학분야에 좀 더 잘 접근할 수 있지 않을까 해서 인생 2라운드(?) 에서 할 것으로 남겨두었답니다...(아 근데 요즘은 책읽고 생각하는게 귀찮아져서..ㅋ)

facelist doodle 그림판 아이템

로그인후 댓글쓰기가 가능합니다. 로그인 | 회원 가입

스마트폰 모드|진오비 산부인과

© 2005-2025 gynob clinic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