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漢字)의 두번째 특징은 사람에 따라 글의 해석이 다를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한글과 같은 표음문자는 서술적으로 풀어서 의미를 전달한다면 한자(漢字)는 의미를 응축해서 그 뜻을 전달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의미를 응축하기 때문에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여지가 남게 되며 이는 오해의 소지도 만들지만 좀더 폭넓고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여지도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가 그런 경우에 해당합니다.
이 말은 수신(修身, 심신을 닦는다), 제가(齊家, 가정을 바르게 한다), 치국(治國, 나라를 다스린다), 평천하(平天下, 세상이 평안해진다. 혹은 세상을 평정한다.)의 네 단어가 합쳐진 말로서 4서5경중 하나인 대학(大學)에 나오는 말이라고 합니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알고 있는 해석은 이런 것입니다.
"나를 먼저 바르게 닦고난 다음에 가정을 올바로 이끌고 그런 후에야 나라를 다스리고 세상을 평정하여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나 사실은 이런 의미보다는 공자가 원래 의미한 바는 아래와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대학은 공자의 제자인 증자와 자사가 쓴 것을 주희가 엮었다고 하니 결국 공자의 말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내가 먼저 바르게 심신을 닦고 나면 자연스럽게 가정도 바르게 되고 그것이 나라가 잘되고 세상이 평안해지는 길이다"라는 것입니다.
즉 윗물이 맑으면 아래물이 맑다는 것과 마찬가지 개념인 것이죠.
대학(大學)에서는 사람의 나아갈 바를 제시하는 여덟가지 항목(팔조목, 八條目)으로 격물(格物), 치지(致知), 성의(誠意), 정심(正心), 수신(修身), 제가(齊家), 치국(治國), 평천하(平天下)를 꼽고 있는데 요즘에 와서는 간단히 격물치지, 성의정심, 수신제가, 치국평천하로 합쳐서 부르기도 합니다.
격물치지(格物致知), 성의정심(誠意正心), 수신제가(修身齊家), 치국평천하(治國平天下)의 해석은 각각 1. 사물을 탐구하여 이치를 깨우치며 2. 의지를 성실하게 하여 마음을 바로 잡고 3. 심신을 닦아 집안을 반드시 세우며 4. 나라가 다스려진 뒤에 온 세상이 태평해진다는 뜻입니다.
그럼 여기서 앞글에서 쓴 대로 몇가지 한자--수신제가--의 뿌리에 대하여 살펴 봅니다.
우선 품행을 다스려 '닦는다'는 의미의 수(修)는 석 삼(三)자와 바 유(攸)자로 이루어졌는데 유(攸)는 갑골문에서 사람 인(人)자와 칠 복(攵)자로 구성되어 사람을 다스리는 모습을 그렸고 삼(三)은 띵띵할 팽(彭)처럼 북의 소리가 퍼져 나가는 모습이나, 채색 채(彩)자처럼 햇빛이 비칠 때 손으로 열매를 채취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처럼 광채나 소리가 퍼져 나가는 모습을 말하며 주로 화려한 모습이나 강한 동작을 나타낼 때 쓰인다고 합니다.
(조선일보 한자의 뿌리 찾기 기사--하영삼 경상대 교수글 참고)
다음으로 몸 신(身)자는 여자가 임신해서 배가 불룩한 모습을 표현한 것이 후대에 들어와 '사람의 몸'을 뜻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그것을 보면 이 글자가 만들어진 아주 오래부터 이미 태아를 임신한 여성이 곧 사람 몸의 근본임을 알았다고 할 수 있으니 오히려 지금처럼 낙태가 범람하는 현실을 되돌아 보게 됩니다.
가지런할 제(齊)자는 "같다" "가지런하다"의 의미로 아래 그림에서 보듯 곡식의 낱알들이 모두 똑같이 가지런하게 자라 있는 모양을 본따서 만든 글자라고 합니다.즉 곡식 줄기 세 개를 표시한 것이 제자라는 것입니다. (맨 좌측 그림이 최초의 이미지로 우측으로 가면서 변화된 것)
집 가(家)자는 집을 뜻하는 집 면(宀)자 밑에 돼지 시(豕)자가 붙은 말로 과거에 집안에서 돼지를 기르던 것을 의미하여 집을 의미하는 글자가 되었다고 합니다.
원래 돼지를 나타내는 한자는 돼지 돈(豚), 돼지 시(豕)등 몇가지가 있는데 돼지 돈(豚)은 '새끼 돼지'를 지칭하기 위해 돼지 시(豕)자에 에 고기 육(肉)자를 더해 만든 글자라고 합니다.
이때 돼지 시(豕)자는 튀어나온 돼지 주둥이와 뚱뚱하게 살찐 몸통, 네발과 아래로 처진 꼬리를 형상화한 것이라고 하는군요
(조선일보 한자의 뿌리 찾기 기사--하영삼 경상대 교수글 참고)
오늘은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통하여 한자의 특징 중 하나에 대하여 살펴 보았는데 재미가 있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럼 오늘은 이만 총총 하겠습니다.
다만 가장 중요 글자 4개는 잊지 말고 가시길.....
修身齊家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