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주에 하나씩 이번 주의 그림이라는 타이틀로 잘 알려진 그림들에 대한 간단한 소개와 제 소감을 써 볼 계획입니다.
목표는 1년 52주 그러니까 총 52개의 그림에 대하여 쓰는 것입니다.
물론 제 목표가 달성될 지 아님 변덕이 죽 끓듯 하는 제 성격상 중도에 포기할 지는 모릅니다.
그렇다고 글 말미에 TBCOTE로 협박하지는 않겠습니다. 일단 의지를 가지고 완수해 보려고 생각 중이니까요. ㅎㅎ
참고로 여기서 "티비코테"가 무슨 뜻인가 하고 묻는 분은 없기를 바랍니다.
그 분은 제가 가슴의 피를 토하듯이(??) 쓴 글--팔랑심의 고백록조차도 제대로 안 읽어 보셨다는 말에 다름이 아니니까요. ㅋㅋ  
여하튼 그럼 첫번째 이야기를 시작해 봅니다.
제가 제일 좋아하는 화가 고흐의 그림 중 하나입니다.

이제 며칠 후면 여름의 한 가운데인 7월이 되는 군요.
1890년 정신병이 악화된 고흐가  권총으로 자살을 한 때도 7월입니다.
해바라기가 한창 자태를 뽑내는 계절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이번 주의 그림으로는 고흐의 "해바라기"를 선택했습니다.
많은 화가 지망생들이 모사하고 저도 한때 모사해보기도 했던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뮌헨의 노이에 피나텍 미술관에 있다고 하며 크기가 91*72cm로 그리 크지는 않은 아담한 크기입니다.
물감이 모자랐던 그에게는 큰 대작은 아무래도 부담스러웠겠지요.
그가 죽기 2년전인  40세때 완성한 그림인데 고흐는 노란색을 좋아하여 "별이 빛나는 밤"도 그렇고 그가 죽던 해 마지막으로 그린 그림 "까마귀 나는 밀밭"도 그렇고 자신의 자화상도 그렇고 노란색을 쓴 그림들이 유독 많습니다.
특히 노란색이 많은 해바라기를 좋아해서 여러점의 해바라기 그림을 그렸는데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에 "해바라기는 빨리 시들어버리기 때문에 나는 매일 아침 일찍부터 황혼이 올 무렵까지 해바라기를 그린다"라고 적었다고 합니다.
고흐는 총 11점의 해바라기 작품을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1887년에 4작품, 1888년에 5작품, 그리고 죽기 바로 전해인 1889년에 2작품을 그려서 아마도 자화상 다음으로 그가 많이 그린 대상이 해바라기일 겁니다.
그래서 그를 "해바라기의 화가"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 그림은  임파스토(impasto: 유화물감을 두껍게 칠하여 그림을 그리는 것)기법으로 생생한 질감을 부여한 그림입니다.
가난한 덕분에 물감을 살돈도 충분치 않았던 고흐가 물감을 두텁게 칠하는 기법으로 그림을 그렸다는 것은 그가 해바라기를 얼마나 좋아했는지 하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누구나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는 자신이 가진 모든 것을 아낌없이 쏫아 붓게 마련이니까요.
이 그림에 있는 해바라기는 크기나 색깔, 혹은 꽃이 바라보는 방향조차 모두가 제각각으로 같은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막 피기 시작한 해바라기부터 시들어 가는 해바라기까지 한 화병에 여러 단계의 해바라기들이 담겨 있습니다.
흡사 한 사람의 인생 전체를 담은 것처럼 해바라기의 일생을 담은 것 같은 느낌을 줍니다.
사실 해바라기는 줄기에 비하여 꽃이 비정상이라 할 정도로 큰 꽃입니다.
그래서 다 자란 해바라기는 꽃대가 휘어질 정도로 무겁습니다.
그런 해바라기 12송이를 조그만 화병에 배치한 것도 평범하게 보이지는 않습니다.
비록 짙은 갈색으로 무게감을 주기는 했지만 화병의 크기는 장미꽃과 같은 크지 않은 꽃들이나 담음직한 작은 화병이라 여러 송이의 해바라기를 담고 있는 것이 버거워 보입니다.
고흐가 그런 것을 의도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해바라기는 자신의 모습이고 화병은 그가 사는 세상인 것처럼 느껴집니다.
이 그림을 볼 때면 저는 좁은 세상에 갇혀 몸부림치는 듯한 고흐의 모습이 떠오릅니다.
이렇게 까지 생각하는 것은 지나친 비약이겠지만 이 그림을 보고 있으면 무언가 터져 버릴 것 같은 질량감을 느끼기는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주체하기 어려운 내적 에너지와 갈등을 토해내는데 있어 오직 그림말고는 아무 것도 없었던 그의 고통이 느껴집니다.

권총으로 가슴을 쏘고 나서 간신히 집에 돌아와 죽으면서 고흐가 마지막으로 동생 테오에게 한 말은 다음과 같았다고 합니다.
“슬픔은 영원히 계속된다 (the sadness will last forever)"
그림조차도 그의 슬픔을 덜어줄 수 없었다는 사실이 안타깝기만 합니다.

뜨겁게 이글거리는 7월의 태양을 가슴 가득히 품고 간 고흐를, 그리고 그의 해바라기를 생각해 보는 하루입니다.
그리고 고흐의 해바라기처럼 누구나 자신만의 해바라기가 있을 것입니다.
뜨거운 가슴을 달래주고 고통스러운 현실을 잊게 해 주는......
당신의 해바라기는 무엇입니까?

#2 동민 등록시간 2014-06-27 20:51 |이 글쓴이 글만 보기
해바라기는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유명한 그림이죠.
제가 제일 좋아하는 그림은 '별이 빛나는 밤' 이지만 ^^

갑자기 어릴때 봤던 영화가 생각 납니다. 거의 죽을병에 걸린 소녀가 병실에 걸린 고흐의 해바라기 그림을 보다가 꿈인지 환상인지로 빠져들어 고흐에게 가게 되는데 고흐 옆에서 지내면서 뭔가 힘을 얻고 현실세계로 돌아와 보니 병이 나아 있었다는. ㅎ

아마 여기 많은 산후맘들의 해바라기는 귀엽고 사랑스러운 아이들일 것입니다.
저의 해바라기는 무엇일까요. 집에 있는 메모지에 해바라기에게 보내는 작은 편지나 한장 적어볼까 합니다.^^



그나저나 미술반에 게시물 아주아주 오랜만에 올라왔네요.
미술반의 수준이 너무 높다는 원성이 자자한데
그래서 조만간 매우 친근한 수준의 게시물을 하나 올리려고 했는데

^^;;;;;;;;;
앞으로 좋은글 꾸준히 올려 주신다니 감사해요~~~~~~^^
#3 심상덕 등록시간 2014-06-27 20:57 |이 글쓴이 글만 보기
동네주민 2014-06-27 20:51
해바라기는 모르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로 유명한 그림이죠.
제가 제일 좋아하는 그림은 '별이 빛나는 밤...

아니 너무 수준이 높은 (ㅋㅋ) 제 글에 주눅 들지 마시고  "매우 친근한 수준"의 게시물을 계획 대로 올려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원래  어설프게 아는 사람이 잰체 하려고 어렵게 글을 쓰고 핵심을 꿰뚫고 있는 고수들은 글을 쉽게 쓴다고 합니다.  
덕분에 매우 친근한 수준으로 쓰려면 어떻게 써야 하는 것인지에 대하여 저도 한번 배워 보고 싶군요. ㅋㅋ.
그리고 미술반에 가장 많은 글을 올린 열성 회원(?)에게 미술반 회장으로서 뭐 선물 같은 것 없습니까아?
추측이지만 제가 모임 중에서는 그저 사진만 올리면 되는 사진반과 최근에 좀 글을 올린 문학반 빼고는 이곳 미술반에 가장 많은 글을 올린 듯 싶은데.....

댓글

안그래도 만들어진 시간 이라는 말 때문에 그 말씀 하실것 같아서 정정하려다 그냥 썼습니다. ㅋㅋ 글고 요즘은 시간을 30분 늦춰서 봐요. 지금 쓰고 있는 시간이 동경 표준시라 실제 우리나라 시간으로 하면 30분 느리다고. 그러니까 자시는 1시 30분까지. 저도 자시생이죠 ㅎ  등록시간 2014-07-04 00:01
1시 10분은 1월 10일인 제 주민등록상 생일을 암시한 것입니다. ㅎㅎ.동네주민님은 만들어진(ㅋㅋ) 시간까지 정확히 아시나 봐요? 보통 출산한 시간은 알지만 만들어진 시간--잉태된 시간--은 알기 어렵죠. ㅋㅋ. 전 어머니께서 자시에 출산하셨다고 하는데 자시는 밤 11시에서 1시 사이로 띠도 쥐띠고 시간도 쥐띠 시간이죠. ㅎㅎ  등록시간 2014-07-01 16:38
아니 왜 하필 1시 10분이죠? 그리고 오전인가요 오후인가요? 전 오전 1시 5분에 만들어 졌는데 ㅋㅋ  등록시간 2014-06-29 21:59
제가 너무 고집을 부리면 너무 까탈스러운 원장으로 보이겠죠? 적당한 수준에서 못 이기는 척하고 넘어가 주는 신사의 품격을 보이는 의미에서 크라제 버거로 퉁쳐 주겠어요. 대신 크라제 버거는 반드시 1시 10분에 제조된 것이어야 한다는 단서만큼은 양보 못 하겠네요. 무엇이든 그 시간에 만들어진 것이 제일 품질이 좋거든요. ㅎㅎ.  등록시간 2014-06-27 23:33
크라제 버거가 촘 가격이 나가긴 하는데 수제 햄버거를 49개 사는것 보다는 훨씬 저렴할것 같으니 ㅋㅋㅋ그냥 명품 크라제 버거 풀세트 메뉴 하나로 퉁칩시다. 콜? ㅋㅋ  등록시간 2014-06-27 23:13

스마트폰 모드|진오비 산부인과

© 2005-2025 gynob clinic

빠른 답글 맨위로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