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화가들이 자신의 자화상을 그립니다.
그러나 고흐만큼 많은 자화상을 그린 화가는 거의 없습니다.
그래서 특별히 미술에 대해 관심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면 학생 때 미술책에서 자화상을 본 화가로는 렘브란트와 고흐 정도 밖에는 기억이 없을 것입니다.
이렇듯 유달리 고흐가 자화상을 많이 그린 이유는 제 추측이기는 하지만 그의 삶의 행로와 무관하지 않을 것입니다.
예술가들의 삶이란게 원래 파란만장 하지 않은 사람이 없지만 세속적인 의미에서 고흐처럼 불행한 삶을 살다 간 사람도 없습니다.
세속적인 의미란 작품 활동을 하면서 얻는 희열의 측면은 별도로 치고 흔히 대부분 인간들에게 중요한 돈과 명예와 권력이라고 하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그렇다는 말입니다.

고흐는 동생으로부터 빵 살 돈을 얻어 그 돈으로 빵을 사는 대신 물감을 사서 그림을 그려야 했을 만큼 경제적으로 항상 쪼들려야 했다고 합니다.
뿐 아니라 평생 독신으로 지내면서 따뜻한 가족애를 맛보지도 못했습니다.
유일하게 사랑했던 여인인 조카를 한번이라도 보기 위해 촛불에 올린 자기 손가락이 타들어 가는 시간 동안만이라도 볼 수 있게 해달라고 애원했지만 허락 받지 못했을 만큼 남녀간의 사랑도 누려 보지 못한 채 외로운 생을 살았습니다.
그리고 그는 살아 생전에는 한번도 제값을 받고 그림을 팔아 본 것이 없을 정도로 미술가로서의 진가를 제대로 평가 받지도 못했습니다.

때문에 다른 사람의 초상을 돈을 받고 그려 줄만한 처지도 아니고 멋진 경치를 찾아 작품 여행을 떠나 볼 입장도 아닌 상황에서 그가 그릴 수 있는 것이란 모델료를 지불하지 않아도 되는 그 자신의 모습 밖에는 없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그의 자화상을 보면 원래도 그리 잘 생긴 얼굴이 아니지만 그 얼굴에 녹아 있는 생의 고단함과 아내나 자식도 없이 자화상 밖에 만만하게 그릴만한 게 없었던 그의 인생의 쓸쓸함으로 하여 가슴이 싸해 지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작품 감상의 좋은 태도는 아니겠지만 저는 고흐의 그림에서만큼은 위대한 화가로써 존경의 마음보다는 오히려 안쓰러운 연민의 감정을 더 느끼게 됩니다.

아래 그림 중 맨 위의 그림은 1898년에 발작 증세로 셍레미 요양원에 있으면서 그렸다는 자화상입니다.
초췌한 모습을 나타나는 데 적격이기도 했겠지만 그림 물감이 모자라서 단색으로 얇게 발라서 그렸다고 하는 그림입니다.
그 아래 것들은 그가 그린 자화상들입니다.
빵과 바꾸었던 붓터치 하나 하나에서 그의 길지 않았던 인생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런 힘든 삶을 뛰어 넘어 위대한 작품을 남긴 그의 열정에 대하여 느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제가 가장 좋아하는 화가는 고흐이고 가장 좋아하는 음악가는 베토벤이며 가장 좋아하는 철학자는 니체입니다.
세사람 모두 독신으로 살았고 평온하지 않은 삶을 살다가 갔죠.
물론 저야 독신이 아니지만.....





























#2 동민 등록시간 2014-05-07 11:29 |이 글쓴이 글만 보기
ㅎㅎㅎ 독신으로 살았던 그들 보다는 인간적으로 많이 누리신 겁니다. 자식도 셋이나 보셨으니!
저도 고흐를 제일 좋아합니다. 예전 블로그 댓글에서도 말씀드렸듯 실제로 고흐 그림을 보니 한동안 그 자리서 꼼짝못하게 할 강력한 힘이 느껴지더군요. 이글이글 타들어 가는 듯한 붓터치를 보니 제 눈도 일렁이는듯 어지러운 느낌을 받았었죠. 고흐 그림을 한점 아크릴화로 모사한적이 있는데 실물그림과 비교해 보니 정말 저는 물감을 너무 많이 발랐더군요 ㅋㅋㅋ 고흐는 하얀 캔버스 바닥이 언듯언듯 보일 정도로 얇게 터치했던데. 보통 사람이면 그 정도 발라서 고흐의 그림같은 강렬한 느낌을 주기 힘든데 역시 미친놈은 미친놈이다...... 라는 생각이 들었죠 ^^

댓글

고흐 그림 몇점 모사를 해 보심이 ^^  등록시간 2014-05-07 15:29
전 전에 뉴욕에 갔을 때 MOMA에서 고흐 그림을 몇점 보았는데 그냥 그저 그랬습니다. 제가 감수성이 별로 좋지 않다보니 멍..띵.. 이런 건 없더군요. ㅋㅋ. 그래서 제가 예술가 되지 않기를 잘 했다고 생각했다는....ㅎㅎ  등록시간 2014-05-07 12:48

이 글에 좋아요를 표시한 회원

심상덕 [2014-05-07 12:24]  
#3 땅콩산모 등록시간 2014-05-07 11:58 |이 글쓴이 글만 보기
동네주민 2014-05-07 11:29
ㅎㅎㅎ 독신으로 살았던 그들 보다는 인간적으로 많이 누리신 겁니다. 자식도 셋이나 보셨으니!
저도 고흐...

고흐가 그런 붓터치를 사용한 이유가 있더군요.  평생 편두통에 시달리며 시야 자체가 이글이글... 그저 보이는대로 표현한거란 고흐의 글을 언젠가 고흐가 동생에게 보내는 편지를 주제로 한 책에서 본 기억이 납니다^^

댓글

태호라고 부르니 갑자기 친근해지는 느낌이 ㅋㅋㅋㅋㅋㅋ  등록시간 2014-05-07 15:19
고흐 동생 이름은 태오. ㅎㅎ  등록시간 2014-05-07 12:21
네네 맞아요 ㅋㅋ 동생 이름이 태호이던가... 정태호가 아닌... ㅎㅎ ^---^  등록시간 2014-05-07 12:09
반 고흐- 영혼의 편지 인가요? 저도 재밌게 읽은 기억이 ^^  등록시간 2014-05-07 12:05

이 글에 좋아요를 표시한 회원

심상덕 [2014-05-07 12:24]  
#4 땅콩산모 등록시간 2014-05-07 13:09 |이 글쓴이 글만 보기
고흐 얼굴형이... 현빈이네요 ♥.♥ 까야악!!
'역린'을 보고온 이후로 자꾸 아른아른거리는지라...*^^*

댓글

앗 그러고보니 난데없이 현빈의 얼굴이 ㅋㅋㅋ 현빈 너무 말라서 T.T 전 집앞에서 문세횽을 본적이 있네요. 그러고보니 제가 5살때 제일 먼저 배운 가요. 난 아직 모르잖아요~가 생각이 납니다 ㅋㅋ  등록시간 2014-05-07 15:23
아뇨.. 말상에도 급이 있죠 ! 기름진 말상은 노노.....  등록시간 2014-05-07 14:57
그럼 가수 이문세 엄청 좋아하시겠군요. ㅎㅎ  등록시간 2014-05-07 14:53
보통... 긴 턱과 긴 코를 가진 남자들을 추남이라 하던데... 전 이상하게 그런 '말상'을 좋아해요 ㅎㅎ  등록시간 2014-05-07 14:00
현빈이요? 미술계에서 가장 추남이 고흐인 것은 유명한 사실인데요?? 아마 못 먹어서 말라 얼굴 턱선이 샤프해져서 그렇게 느끼셨나 보네요. ㅎㅎ  등록시간 2014-05-07 13:31

스마트폰 모드|진오비 산부인과

© 2005-2025 gynob clinic

빠른 답글 맨위로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