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반은 산모의 여러 영양 성분과 산소를 태아에게 공급하고 태아에게서 발생한 노폐물을 산모에게 전달하는 것이 기본적인 기능입니다.

그러나 그외에도 태반은  태아의 간이 충분히 발달할 때까지 영양소인 글루코스를 글리코겐의 형식으로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할 때 글루코스로 변화시켜 사용하는 창고의 기능도 있으며 그외 콜레스테롤이나 지방산의 생성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태반이 태아에게 있어서 특히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는 여러 호르몬을 분비하여 산모에게 작용토록 하는 내분비 작용이 있다는 것입니다.
일례로 태반성 유선자극호르몬(hPL)은 산모의 유방을 발육시키고 출산 후 모유가 형성되어 분비 되도록 도와 주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태반은 이물질의 침입에 대한 방어 작용도 가지고 있습니다.
태반은 사람의 몸에서 뇌와 고환과 더불어 유해 물질이 전파 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가지고 있는 기관 중의 하나입니다.
태아에게 해로운 박테리아의 침입은 억제하고 태아에게는 필요치 않은 산모의 혈액 내에 있는 아드레날린과 같은 호르몬의 활성은 없어지게 하는 작용을 합니다.
그러나 태반이 모든 물질에 대하여 방어작용을 가진 것은 아니어서 지방 성분이면서 크기가 작은 것들에 대하여는 차단 작용이 없기 때문에 살충제나 담배에 들어 있는 니코틴 등에 대하여는 차단 작용이 없습니다.
그리고 크기가 작은 바이러스 종류도 태반의 비교적 촘촘한 방어벽을 뚫을 수 있어서 무방비 상태입니다.
그래서 임신 초기에 풍진, 수두, 홍역, 뇌염, 소아마비 균 등의 바이러스 질환이나 페니실린이나 알코올, 마약과 같은 많은 종류의 약물들을 조심하라고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도 태반의 기능에 대하여 모두 밝혀진 것은 아니며 산모의 몸에서 어떻게 이물질에 의한 거부 반응이 없이 유지되는 지도 의문입니다.
다만 결핵과 같은 환자들이 산모의 태반을 고아서 먹으면 낫는다는 속설만큼은 틀린 것입니다.
폭 20 cm에 두께 2.5 cm, 무게 500 gm 정도이니 그저 영양가로만 평가한다면  소고기 한근 정도의 영양가 밖에는 없습니다.

스마트폰 모드|진오비 산부인과

© 2005-2025 gynob clinic

빠른 답글 맨위로 목록으로 돌아가기